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 기타

네이밍 컨벤션 종류[변수 이름 짓기]

네이밍 컨벤션이란?

하나 이상의 영어 단어로 구성된 식별자를 만들 때 가독성이 좋도록 단어를 한눈에 구분하기 위해서 규정한 명명 규칙.

종류로는 카멜 표기법, 파스칼 표기법, 스네이크  표기법, 헝가리언 표기법, 케밥 표기법 등이 있다.

 

종류

1.카멜 표기법(Camel Case)

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지만 맨 앞에 오는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

유래는 표기한 모습이 낙타(Camel)의 등과 같아 보여 카멜 표기법이라 명명

단어 전체적으로 소문자를 사용하지만 맨 첫 글자를 제외한 각 합성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.

주로 자바 등에서 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하는 데 사용

//카멜 표기법의 예시
camelCase
isCamelCase

2.파스칼 표기법(Pascal Case)

카멜 표기법과 다르게 처음 단어도 대문자로 시작

자바, 파이썬 클래스를 선언하는 데 사용

//파스칼 표기법
PascalCase
Method

3. 스네이크 표기법(Snake Case)

유래는 땅바닥을 기어다니는 뱀의 모습을 닮아서 명명

단어는 모두 소문자로 쓰고 단어 간의 구분은 밑줄로 대체

C,C++,파이썬 등에서 사용

//스네이크 표기법
my_score
snake_case

4.헝가리언 표기법(Hungarian Notation)

c언어에서 자주 사용했음(요즘은 지양)

변수명의 앞에 자료형을 붙이는 것

자료형이 바뀌면 변수명도 바뀌어야 하므로 카멜이나 스네이크 표기법으로 바뀌는 추세

유래는 마이크로소프트 헝가리인 개발자가 만들어서 헝가리언 표기법이라 명명

//헝가리언 표기법
int imy_scroe = 100;
str strName = "strange";

5.케밥 표기법(Kebab Case)

형식이 스네이크 표기법에서 언더바(_)가 하이픈(-)으로 바뀐 것

많은 언어가 하이픈을 지원하지 않아 상당히 제한되어 있음

주로 프로퍼티에 값 설정, CSS, HTML에서 사용

유래는 케밥 꼬치에서 따서 명명

//케밥 표기법
kebab-case

'프로그래밍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SCII Table(아스키 코드표)  (0) 2023.08.25